TNF-α 차단기의 개입은 위약이나 가와사키 아동의 추가 치료와 비교된다.

배경

가와사키 병(KD)은 생후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어린이들에게 주로 영향을 미치는 혈관의 급성 염증이다. KD의 표준 의료 관리에는 아스피린과 함께 정맥내 면역글로불린(IVIG)이 포함된다. 이 표준 치료법은 보통 효과가 있지만, 약 15%에서 20%의 아동에게는 효과가 없다.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을 때, 아이들은 심각한 심장 질환을 겪을 수 있다. 최근 연구진은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차단제가 표준 치료제로 치료되지 않은 가와사키 병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KD 치료를 위한 TNF-α 차단기의 유익성과 위해성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하며, 효능과 안전성이 향상될 가능성은 모호하다. 따라서 이 검토는 KD 치료를 위한 TNF-α 차단기의 유익성과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특성

TNF-α 차단제를 KD 아동을 위한 치료제로 사용하고 치료 저항성, 심혈관계 사건, 주입 반응과 감염 등 부작용 등을 측정한 실험을 포함했다. 총 494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5개의 완성된 연구(가장 최근의 연구 검색 2018년 9월)를 찾아냈다. IVIG 치료 후 추가 치료로 TNF-α 차단제를 사용한 연구는 4건, KD를 가진 어린이들을 위한 첫 치료법으로 TNF-α 차단제를 사용한 연구도 1건 있었다.

주요 결과

분석 결과 TNF-α 차단기는 치료 저항성이 14%~62%(저확실성 근거) 감소하고 주입 반응은 55%~99%(저확실성 근거)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NF-α 차단제가 관상동맥 이상 등 심각한 심장질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TNF-α 차단기를 받았거나 받지 않은 어린이들 사이의 감염 발생률에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근거의 확실성

연구에는 소수의 참여자만 포함되었기 때문에 근거의 확실성이 낮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대규모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연구진 결론: 

KD에 대한 TNF-α 차단제의 효과를 조사하는 제한된 수의 RCT를 발견했다. 요컨대 낮은 확률 근거는 TNF-α 차단기가 치료 저항성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고 IVIG를 이용한 치료나 추가 치료와 비교했을 때 KD에 대한 치료 개시 후의 '유입 반응'에 대한 부작용을 나타낸다. 더 많은 연구가 근거 기반에 추가될 것이다. 분석에 기여하는 좋은 품질 시험 횟수가 적기 때문에 제시된 결과는 주의해서 다루어야 한다. KD에 대한 TNF-α 차단기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TNF-α 차단기의 타이밍과 유형을 가진 더 큰 고품질 시험이 필요하다.

전체 초록 읽기
배경: 

가와사키 병(KD)은 급성 염증성 혈관염(혈관의 팽창)으로 생후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이들에게 주로 영향을 미친다. 혈관염은 주로 중간 크기의 혈관, 특히 관상동맥에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어린이에서 정맥내 면역글로불린(IVIG)과 아스피린 요법은 염증 표지자, 발열, 기타 임상 증상을 빠르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초기 IVIG 주입을 받는 어린이의 약 15%~20%는 지속성 또는 재발성 열을 보이며 IVIG 내성으로 분류된다.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서 감염에 대한 숙주 방어와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러 연구에서 TNF-α를 차단하는 것이 KD를 가진 어린이의 항염증 효과를 얻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KD 치료를 위한 TNF-α 차단기의 유익성과 위해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목적: 

TNF-α 차단제(즉, infliximab 및 etanercept)를 사용하여 가와사키 병에 걸린 아동을 치료하는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다.

검색 전략: 

코크란 혈관 정보 전문가는 코크란 혈관 전문 등록부, Central, MEDLINE, Embase 및 CINAHL 데이터베이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임상시험 등록 플랫폼 및 ClinicalTrials.gov 시험 등록부를 2018년 9월 19일까지 검색했다. 또한 문헌에 대한 참조 확인에 착수했다.

선정 기준: 

초록 또는 전문으로 보고된 KD 아동에서 TNF-α 차단제(즉, infliximab 및 etanercept)를 위약 또는 기타 약물(IVIG를 사용한 후퇴 포함)과 비교한 RCT(Randomized Control Trial)를 포함했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두 명의 검토 저자는 연구 선택 기준을 독립적으로 적용했고, 비뚤림 위험 평가 및 추출 데이터를 사용했다. 필요한 경우 연구 작성자에게 추가 정보를 문의했다. 근거의 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해 GRADE를 사용했다.

주요 결과: 

14건의 보도 중 5건의 임상시험을 포함했고, 총 494명이 참여했다. 포함된 모든 실험은 KD에 대한 TNF-α 차단기의 효과를 검사한 개별 RCT였다.

5회 시험(494명 참가)에서 치료 저항성이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TNF-α 차단기는 치료 저항의 발생률을 감소시켰다(TNF-α 차단기 개입 그룹 30/237, 대조군 그룹 58/257, 위험비(RR) 0.57, 95% 신뢰 구간(CI) 0.38 ~ 0.86, 낮은 확률 근거).

4번의 임상시험에서 관상동맥 이상(CAAs) 발생이 보고되었다. 3번의 임상시험(참가자 270명)이 메타분석에 데이터를 기여했는데, 4번째 시험부터는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CAA 발생률에서 그룹 간에는 명확한 차이가 없었다(TNF-α 차단제 개입 그룹 8/125, 제어 그룹 9/145, RR 1.18, 95% CI 0.45 ~ 3.12, 낮은 확률 근거).

25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3번의 임상시험에서는 치료 개시 후 '유입반응'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TNF-α 차단제의 개입은 주입 반응을 감소시켰다(TNF-α 블로커 개입 그룹 0/126, 제어 그룹 15/124, RR 0.06, 95% CI 0.01 ~ 0.45, 낮은 불확실성 근거).

227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두 번의 실험은 치료 개시 후 '감염'이라는 부작용을 보고하였다. 그룹 간에는 명확한 차이가 없었다(TNF-α 차단기 개입 그룹 7/114, 제어 그룹 10/113, RR 0.68, 95% CI 0.33~1.37, 낮은 확률 근거).

한 실험(참가자 31명 포함)에서는 '피부성 반응'(충격 및 접촉성 피부염)의 부작용을 보고했다. 발진 발생 그룹(TNF-α 차단제 개입 그룹 2/16, 대조군 그룹 0/15, RR 4.71, 95% CI 0.24 ~ 90.69, 매우 낮은 불확실성 근거)이나 접촉 피부염 발생 그룹(TNF-α 차단제 개입 그룹 1/16, 대조군 그룹 3/15, RR 0.31, 95% CI 95%)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어떤 시험도 주사부위 반응, 중성미자, 감염, 탈모증, 심부전, 악성, 자가면역 유발과 같은 다른 부작용들을 보고하지 않았다.

역주: 

위 내용은 코크란연합 한국지부에서 번역하였습니다.

Tools
Information